[한국보건산업진흥원_글로벌 보건산업 동향_Vol.425](중략)△ 자세한 정보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글로벌 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_보건산업브리프_Vol.356](중략)△ 원문 보러 가기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보건산업 브리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중략)△ 원문 보러 가기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브리프
[식품의약품안전처](중략)△ 자세한 정보 : 법령/자료 → 자료실 → 안내서/지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략)△ 자세한 내용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정책연구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중략)△ 자세한정보 : 의료기기 표준코드(UDI)정보 → 표준코드 관련 소식
[한국보건산업진흥원_글로벌 보건산업 동향_Vol.425](중략)△ 자세한정보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글로벌 동향
[아주대학교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FDA 융복합 의료제품의 시판 전 승인 경로 원칙 가이드라인' 번역집발간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연연구개발과제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촉진지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융복합 의료제품 관련 기업의 원활한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해외 가이드라인을 번역해 무료로 배포중입니다. 이번에 발간된 "융복합 의료제품 시판 전 승인 경로 원칙 가이드라인"과 작년에 발간된 온라인 번역본 및 오프라인 번역본을 배포중이라고 하오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신청바랍니다. 1. 주요내용 : FDA가 융복합 의료제품을 시판 전에 검토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 - Principles of Premarket Pathways for Combination Pr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중략)△ 자세한 정보 : 정보광장 → 국내외 동향 → 국제규격
[KOTRA_해외시장동향_2022. 05. 03]터키 한국산 임플란트 반덤핑 최종 판정 결과 발표작성자 : 이스탄불무역관 김우현자료원 : 터키 무역부 반덤핑 최종 판정 보고서,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조사 배경 및 개요터키 현지의 임플란트 제조업체 M사를 비롯한 3개 사는 한국산 임플란트 제품이 터키 시장가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해 덤핑 마진을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터키 무역부에 제소했고 터키 무역부는 이 주장을 받아들여 지난해 5월 조사가 개시됐다. 11개월에 걸친 한국산 임플란트 제품에 대한 조사가 종료되고, 최종 판정 결과가 관보로 발표됐다(’22.4.14. 관보번호 제301809호, 무역부 불공정 무역행위 조치제도 고시 제2022/12호).주요 내용터키 무역부는 2018~2020년 사이
러시아 치과 용품 시장 개요BusinesStat(러시아 시장분석기관)는 2020년 러시아 치과 시장 분석(2015년~2019년 기준)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019년 러시아 치과 방문 건수는 2억7100만 건이며 이중 68.9%(1억86700만 건)는 CHI(Compulsory Health Insurance: 의무건강보험) 이었다. 러시아의 CHI 치과 진료는 비용이 적기 때문에 2015년~2019년 동안 치과 방문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직원 의료보험에는 고비용 이유로 치과 비용 보증 항목이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2020년 기준 러시아 치과 방문 건수는 전년대비 17.5%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 발발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코로나 방역 규제로 러시아 치과 방문수는 감소하였고 이로 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_보건산업브리프_Vol.355](중략)△ 원문 보러 가기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보건산업 브리프
[한국보건산업진흥원_보건산업브리프_Vol.354](중략)△ 원문 보러 가기 : 동향과 정보 → 보건산업동향 → 보건산업 브리프
전시회 개요코로나19와 관계없이 매년 개최되었던 EXPOMED 의료산업 전시회가 올해도 이스탄불 TUYAP 전시장에서 열렸다. 지난해에는 297개사가 참가했던 데에 반해 올해는 약 두 배 가량 늘어나 점차 예년의 참가 기업수를 회복하는 추세다. 2021년 해외참가업체는 총 65개사였으나 올해는 중국업체만 139개사가 참가했으며, 그 외에도 러시아, 말레이시아, 독일 등 총 22개의 국가에서 201개의 해외 업체가 참석했다.한편, EXPOMED는 2020년부터 자체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하이브리드 전시회를 진행하고 있다. 2021년 기준으로 온라인 전시회에만 80개가 넘는 국가에서 3천여명이 참가했고, 주최측 자료에 따르면 약 200여건의 화상 상담이 진행됐다.그러나 바이어와 상담을 하기까지 바이어가 미팅